-
BIG-O Notation (빅오표기법)Domain knowledge 2019. 9. 18. 01:10반응형
BIG-O Notation(빅오 표기법)은 알고리즘의 작동의 공간적,시간적 복잡도를 수학적으로 표기하는 방법입니다.
표기방법은 O(n) ,O(log n) O(N^2) 식으로 O의 괄호안에 처리식을 작성하는 형식으로 표기합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Big_O_notation#/media/File:Comparison_computational_complexity.svg 위의 그래프 처럼
O(n) 을 기점으로 Y축에 가까운 형태들은 처리데이터가 많을수록 기하급수적으로 처리횟수가 높아지며
X축으로 가까운 형태들일 수록 처리횟수가 감소합니다.
[참고 링크]
https://en.wikipedia.org/wiki/Big_O_notation
Big O notation - Wikipedia
Example of Big O notation: f(x) ∈ O(g(x)) as there exists c > 0 (e.g., c = 1) and x0 (e.g., x0 = 5) such that f(x) ≤ cg(x) whenever x ≥ x0. Big O notation is a mathematical notation that describes the limiting behavior of a function when the argument tends
en.wikipedia.org
https://aidanbae.github.io/code/algorithm/bigo/
빅오 표기법(Big O notation)과 자바스크립트
빅오 표기법(Big O notation)과 자바스크립트 - 아이단의 블로그
aidanbae.github.io
https://cjh5414.github.io/big-o-notation/
빅오 표기법 (Big-O Notation), 시간 복잡도, 공간 복잡도
Jihun's Development Blog
cjh5414.github.io
https://www.youtube.com/watch?v=6Iq5iMCVsXA
반응형'Domain knowled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핸드셰이킹 (handshake) (0) 2020.11.10 FLOPS (Floating point operations per second) (0) 2020.10.05 클린 아키텍처(Clean Architecture) (0) 2020.01.18 JAVA String 객체 와 String 리터럴(literal) (0) 2019.10.16 러너블(Runnable)이란? (0) 2019.10.05 함수(Funtion)와 메소드(Method)의 차이 (0) 2019.09.21 객체지향 디자인 5원칙 (SOLID) (0) 2019.09.18 GC(Garbage Collection) 가비지 컬렉터 (0) 2019.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