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ithub + Jenkins 연동 설정DevOps 2019. 8. 14. 02:48반응형
GitHub와 Jenkins를 ssh인증방법을 사용하여 연동하는 방법입니다.
1. Jenkins의 Plugin중에서 GitHub Integration를 설치합니다.
2. jenkins 가 설치된 서버에서 ssh 를 생성합니다.
sudo su -s /bin/bash jenkins ssh-keygen
3. 생성된 ssh 공개키를 확인하여 복사합니다.
sudo cat /var/lib/jenkins/.ssh/id_rsa.pub
4. GitHub의 해당 프로젝트 Settings -> Deploy keys 에서 add deploy key 버튼을 클릭합니다.
5. 복사한 공개키를 붙여 넣습니다.
6. GitHub의 해당 프로젝트 Settings ->Webhooks 에서 Add Webook 클릭
7. Payload URL 에 'http://jenkins 접근주소/github-webhook/' 입력
다른 항목은 기본으로 둔체 Add webhook 버튼 클릭
8. Jenkins 에서 새로운 Item을 생성합니다.
9. General 에 GitHub Project 체크 , Project url 입력 (필수 사항은 아님)
10. 소스코드 관리 에서 Git 선택
Repositories -> Repository URL 에 GitHub Repository clone 경로 입력 (ex> git@guthub.com:DNights/Ddayer.git)
Branches to build에 빌드하고자 하는 브렌치 명 입력 (ex1> */master | ex2> */release)
11. Repositories -> Credentials 에 Add 버튼-> jenkins 클릭
12. Kind-> SSH Username With private key 을 선택
ID 는 적당한 이름으로 작성
Username 에 GitHub ID 입력
private key 에 Enter directly 선택후 Add 버튼 클릭
key 입력 영역에 2.에서 생성한 private Key를 복사하여 입력 (하단의 명령어 사용)
sudo cat /var/lib/jenkins/.ssh/id_rsa
입력완료후 Add 버튼 클릭하여 저장후 Credentials 를 입력했던 ID로 셋팅
13. 빌드 유발에 GitHub hook trigger for GITScm polling 체크
Build 에 Add build step 에서 Invoke Gradle script 선택
Use Gradle Wrapper 선택
Make gradlew executable 체크
Tasks 에 실행하고자 하는 Gralde Task 입력 (ex> clean assembleRelease | ex> clean cleanassembleDebug)
저장버튼 클릭
14. github 에 Push 후 빌드가 정상적으로 처리되는지 확인
정상적으로 처리됬다면 history 에 파란색으로 불이 들어옵니다.
빌드에 실패했다면 빨간색으로 불이 들어옵니다.
빌드후 구글 플레이스토어 등록하는 방법은 차후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링크]
[Jenkins] Github 연동
[Jenkins] Github 연동 작성일자 : 2018년 07월 16일 환경 : Jenkins 2.129, Git 1.8, CentOS 6.3 1. Git 설정 GIT 토큰 발행 토큰 Don’t forget! 2. Jenkins 설정 2.1 Jenkins 서버에서 git 설치 yum inst..
osc131.tistory.com
https://withhamit.tistory.com/38
github push할 때 Jenkins 자동 빌드 설정
기록용. 새로운 ITem 클릭 이름 적고 Freestyle project 로 생성. GitHub project 클릭 > git url 복붙. 소스 코드 관리 > Git > Repository URL 작성. 브랜치는 master 브랜치로 설정했다. 빌드 > GitHub hoo..
withhamit.tistory.com
[Jenkins] Github 프로젝트 연동, webhook, 자동배포 (3)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마지막으로, github 프로젝트를 jenkins에서 관리하고, push가 발생하면 빌드와 배포까지 진행하는 작업을 합니다. 환경 개발 Windows 10 / 배포 Ubuntu 16.04 LTS Maven 3.6.0 Git 2.20.1 JD..
kutar37.tistory.com
https://yookeun.github.io/tools/2014/09/18/jenkins-github/
Jenkins와 Github를 연동하자.
자동화빌드툴로 Jenkins를 사용하고 있고, 소스관리는 Github에서 관리하고 있다면 두가지를 연동해서 사용하면 무척 편리하다. github에 push하는 순간 jenkins에서 pull하고 바로 빌드해주면서 서버에 인스톨할 수있기 때문이다. 이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jenkins가 설치된 서버에서 github로 ssh방식으로 접근하게 하는 것이 편리하다(당연히 jenkins서버에는 git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github에서 <ssh등록>를 참고</ssh등록>
yookeun.github.io
https://yaboong.github.io/jenkins/2018/05/14/github-webhook-jenkins/
Jenkins 로 빌드 자동화하기 1 - GitHub 에 push 되면 자동 빌드하도록 구성
개요 GitHub private repository 에 소스를 push 했을때, Jenkins 서버에 webhook 을 날려서 자동으로 빌드가 되도록 세팅하는 과정을 알아본다.
yaboong.github.io
gitHub와 Jenkins 연결하기
Jenkins와 gitHub 연동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가장 널리 사용하는 Jenkins와, 소스 코드 리포지토리 서비스인 GitHub를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시나리오는 gitHub에 코드를 푸쉬하면 Jenki..
bcho.tistory.com
https://ict-nroo.tistory.com/37
[Jenkins] Github Webhook을 이용한 자동 빌드 환경 구축
Github Webhook을 이용한 자동 빌드 환경 구축 먼저 젠킨스프로젝트와 Github저장소가 연동되어 있어야 됩니다. (젠킨스와 Github 연동하기) Github 저장소와 젠킨스 프로젝트를 연동을 통해 빌드 환경을 구성 한..
ict-nroo.tistory.com
Github Webhook 이용하여 사이트관리
ReturnValues에서 운영하고 있는 사이트가 점점 늘어서 변경사항이 생기거나 할 때, 업데이트 하는 것도 조금의 수고스러운 일이 되어버렸다. 이젠 자동화를 하지 않으면 업무에 방해가 될 상황인 것 같다.
medium.com
https://beomseok95.tistory.com/185?category=1047395
AWS와 JENKINS를 이용한 CI -2 (item 생성, android sdk 설정)
AWS와 JENKINS를 이용한 CI -2 proejct item 생성,android sdk 설정하기 1. home directory 확인하기 jenkins에 로그인-> jenkins 관리-> 시스템설정 에서 홈디렉토리를 확인합니다 . 저의 홈디렉터리는 /var/lib..
beomseok95.tistory.com
반응형'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Jenkins Update (0) 2019.10.30 Bitrise 시작하기 (1) 2019.10.15 Slack + Firebase 연동 알림 (0) 2019.09.07 Jenkins + Slack 알림 연동 (0) 2019.08.18 Jenkins + Google Play Store 배포 연동 (0) 2019.08.16 DevOps 란? (0) 2019.07.25 CentOS7 - JenKins 설치 (0) 2019.07.25 라즈베리 파이 3 B/B+ gitlab 설치 (0) 2019.06.29